대안학교, 경시대회서 '왕따'

교육부 불인정탓 학교장 추천서 발급못해 비인가 우수학생들 재능 펼칠기회 박탈

경기도내 한 대안학교에 다니는 A(15)군은 '컴퓨터 도사'다. 대안학교에 다니기 전 정규 학교에서는 컴퓨터 경진대회에 출전해 교육부장관상을 수상할 정도로 훌륭한 실력을 갖췄다. 하지만 이곳 대안학교로 전학한 뒤로는 '정보 올림피아드' 등 관련 대회에 출전할 수 없게 됐다. A군이 다니고 있는 대안학교가 시·도교육청 등 교육부에서 인정하는 '학교'가 아니므로 A군 역시 교육부가 인정하는 '학생'이 아니라는 이유에서다. 이 학교 교감은 "'정규 교과 과정'과 '비정규 교과 과정'을 구분해야 한다는 교육부 입장은 충분히 이해가 간다"면서도 "하지만 이들이 재능을 펼칠 기회마저 빼앗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지적했다.

비인가 학교 학생들은 수학·물리·화학·정보 등 각 분야에 재능이 있더라도 시·도 대회는 물론 국제 대회에도 출전하지 못하는 등 재능을 펼칠 기회를 박탈당하고 있다. 13일 경기도·인천시교육청 및 대안학교 연맹 등에 따르면 경기·인천 지역의 비인가 학교는 50여개에 달하고 있으며 약 300명의 학생이 이곳에서 학교 생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대부분 대안학교, 또는 종교단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학교다. 그러나 이곳 학생들은 올림피아드를 비롯해 각종 국제·전국 규모 대회에 출전할 수 없다.

이 학교들은 시·도교육청이 인정하는 '학교'가 아니므로 대회 출전에 필요한 '학교장 추천서'를 발급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경기도·인천시교육청은 "'학생'들을 위한 경진대회에 '학생이 아닌' 이들을 초청하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비인가 학교 학생들도 재능을 검증받을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일부 대학들이 신입생 전형시 국제대회입상 실적을 반영하고 있어 균등한 대학 교육 기회를 주기 위해서라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정보 올림피아드를 주최하는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은 최근 시·도 장학사 회의를 열고 "비인가 학교 학생들에게도 대회 출전권을 부여해야 한다"는 의견을 검토하기도 했다.

진흥원 관계자는 "교육부에서 정식으로 인정하지 않는 학교·학생에 대해서는 참가 자격을 줄 수 없다고 기본 입장을 세운 것으로 안다"면서 "출전권 문제는 좀 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2007년 03월 14일 경인일보)